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가상화폐]

암호화폐, 대량조정후 소수 유례없는 성공할것!


英 투자은행, "암호화폐, '대량 조정' 이후 소수만이 유례없는 성공할 것"



"암호화폐 산업은 90%에 달하는 '대량 조정' 절차를 겪을것" 이라고 영국 IT전문 투자은행이 보도했습니다.

2일(현지시간) CNBC는 영국 IT전문 투자은행 'GP불하운드(GP Bullhound)'가 예측한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 ICO 시장의 미래 동향 보고서를 보도했습니다. GP불하운드는 "1년 이내 현재 암호화폐 시장의 90%에 달하는 대량 조정이 일어날 것이며 이 조정 기간을 지난 뒤 소수의 기업만이 살아남을것" 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보고서의 주요 저자 세바스티안 마코스키(SEbastian Markowsky)는 "더 많은 기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진입하면서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일반 투자자들이 시장에 뛰어들면 가격이 폭등할 것"

이라며, "올해 말쯤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는 투자자들의 급매도를 야기하게 되어 '패닉' 현상과 업계의 '대규모 조정'으로 이어질 것"이라 예상하였습니다.


또한 보고서는 "암호화폐 산업의 '빙하기'가 지난 이후 살아남은 몇몇의 생존업체들은 유례없는 성공을 맞게 될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에는 1,000개 이상의 암호화폐가 존재하는데, 비트코인이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며 그 뒤를 이더리움과 리플이 추격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록적인 가격을 기록한 뒤 올해 상반기 큰 하락세를 겪었으나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암호화폐가 가진 가치와 암호화폐를 둘러싼 예측은 최근 몇년간 숱한 논쟁거리가 되어왔고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을 포함한 여러 전문가들이 암호화폐에 대한 비관론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또한 보고서는 "ICO가 더욱 늘어나면서 성숙한 투자 형태가 나타날 것" 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이전처럼 단순한 ICO에 투자를 진행하지 않을 것임을 내포하며, 마코스키는 "투자자들은 더이산 백서만 믿고 자금을 투자하지 않을 것이다. 여러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 확인한 뒤 투자를 결정할 것" 이라 설명하였습니다.




나스닥 CEO "암호화폐, 결국 차세대 화폐로 도입될것"




나스닥의 CEO 아데나 프리드먼(Adena Friedman)이 '암호화폐가 결국 표준화폐로 사용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고 10일(현지시간) CCN이 보도하였습니다.

프리드먼은 최근 CNN의 팟캐스트 방송 보스파일(Boss Files)에 출연해 국제적 지불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암호화폐가 차세대 화폐가 차세대 화폐가 될 것 같다고 발언했습니다.


프리드먼은 "암호화폐가 어떻게 발전해갈지, 어떤 암호화폐가 수용되고 수용되지 않을지 정해진 바는 없다. 하지만

현재보다 더 효율적으로 국제 송금을 처히라고 이터넷기반 경제를 지원하 수 있는 국제적인 지불 메커니즘을 암호화폐가 제공하게 될것" 이라는 생각을 밝혔습니다.


한편,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시스템을 단번에 바꿀수는 없으며 규제가 적고 효율이 낮은 시장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블록체인은 규제가 적고 효율성이 낮은 맞춤형 시장에서 먼저 사용될 것이다. 테스트를 통해 블록체인이 작동하는 것을 보여주고, 나스닥 시장이나 펀드산업계에서도 효율성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해야한다"고 전했습니다.


프리드먼은 해당 분야가 직면한 어려운 과제로 정부 규제기관과의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급부상 중인 신생 분야에 대한 정부기관의 반응이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그녀는 "정부가 암호화폐를 수용할지, 아니면 관리 범위 밖에 두게 될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블록체인이 유용한 기술이라고 생각하지만 사회 전체의 수용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프리드먼 CEO는 장기 투자를 위한 비트코인 선물상품 출시를 연구 중이며, 시장이 성숙해진다면 앞으로 암호화폐 거래를 개설할 것 이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관심을 표한바 있습니다.





블룸버그, '암호화폐 가격지수' 출시...노모그라츠 협력




미국 대형 언론사 블룸버그가 암호화폐 가격 인덱스를 제공하기 위해 암호화폐 전문가와 손을 잡았습니다.

9일(현지시간) CNN보도에 따르면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 주식 전문가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atz)가

파트너십을 맺고 주요 암호화폐의 종합 성과를 제공하는 '블룸버그 갤럭시 크립토 인덱스(BGCI)' 제작에 들어갔습니다. 블룸버그지수(Bloomberg lndices)의 글로벌 상품매내저 앨런 캠벨(Alan Campbell)은 "BGCI는 암호화폐에 대한 커져가는 관심을 반영한것으로, 엄격한 접근방식을 적용해 인덱스를 구성하여 투자자에게 시장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투명한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라고 소개하였습니다.


노보그라츠는 포트레스 인베스트먼트 그룹(Fortress lnvestment Grorp)의 헤지펀드 매니저로 근무했으며, 캐나다에

공식 등록을 앞두고 있는 '암호화폐 상업은행'에 최근 2억5천만 달러(한화 2,691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습니다. BGCI는 시총 포함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10개 암호화폐의 가격 인덱스를 제공하는데, 해당 암호화폐는 비트코인(30%), 이더리움(30%), XRP(14.14%), 비트코인캐시(10.65%), EOS(6,11%), 라이트코인(3.77%), 대시(1.67%), 모네로(1.66%), 이더리움클래식(1%), 지캐시(1%) 입니다.


주류 금융기관의 암호화폐 시장 접근을 더 원활하게 돕기 위해 인덱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작년 코인베이스(Coinbase)와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은 각각 암호화폐 인덱스 펀드를 출시했고, 최근 월스트리트 분석기업 펀드스트랫은 시장의 각 요인을 추적하여 5개 암호화폐의 가격지수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암호화폐 스타트업 블록스트림(Blockstream)과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기업 인터콘티넨탈 거래소(Intercotinental Exchange)가 기관 고객을 대상으로 한 암호화폐 데이터피드를 생성하기 위해 협력 중입니다.


(기사 출처 : TokenPost)